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베이징, 지하철 공기질 스모그 시 바깥보다 나쁨

베이징 지하철 공기 속 초미세먼지 농도
모두 동일 시기 바깥 대기 평균 농도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나

17일 중국 난팡두스바오(南方都市報)는 판스(磐石) 환경 및 에너지 연구소와 베이징대 공공위생학원 판샤오촨(潘小川) 교수팀은 베이징 지하철 공기질에 대한 공동 연구를 통해 이런 결과를 밝혀냈다고 보도했습니다.

공동 연구팀은 ”난방공급시기, 비(非) 난방공급시기를 막론하고 베이징 지하철 공기 속 초미세먼지 PM 2.5(지름 2.5㎛ 이하의 초미세 먼지) 농도는 모두 동일 시기 바깥 대기 평균 농도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난방공급시기는 50%, 비난방공급시기는 84%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10개 노선 중 8호선의 공기질이 최악이고 6호선이 그 뒤를 이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반면 13호선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연구팀은 지난 1월 중순, 2월 하순 지하철 내와 지상 PM 2.5 농도를 검측한 결과, 지상이 30㎍/㎥인 반면 8호선 지하설 내 PM 2.5 농도는 150㎍/㎥로 확인됐습니다. 이 같은 8호선 내 PM 2.5 농도는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기준인 25㎍/㎥의 6배에 달한다고 합니다.

공동 연구팀은 “베이징 지하철의 열악한 공기질은 승객, 특히 통근자들의 암 발병률을 높일 수 있다”면서 "상황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승객은 방진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공기질이 중요 쟁점 사항으로 지속적으로 다뤄지는 시점인데 국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정확한 조사와 확실한 조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지하철 #베이징지하철 #서울지하철 #지하철공기질 #중국여행 #베이징여행 #베이징대중교통 #지하철초미세먼지 #베이징지하철요금 #중국대중교통 #아로정보기술 #ODsay


쉼표가 있는 대중교통


Posted by 908ㄽ8-0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제주, 이달 26일 버스우선차로제 첫 도입…일부 개통연기 ‘혼선’ 불가피

일부 구간 공사 지연으로 개통 연기
위반차량 단속 연말까지 유예 기간

제주도는 이달 26일을 기점으로 버스우선차로제 시행하고 버스 노선을 대폭 변경하는 등 대중교통체계를 전면 개편한다고 11일 밝혔습니다. 

이번 대중교통체계 개편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버스우선차로제입니다. 제주도는 26일부터 편도 3차로 이상이고 교통이 혼잡한 ‘광양사거리~아라초’, ‘무수천~국립제주박물관’, ‘공항로’등 제주도심 구간을 대상으로 버스우선차로제를 실시합니다. 

하지만 공사가 지연되면서 일부 구간은 개통이 미뤄지게 되었습니다. 제주도 광양사거리와 법원사거리 구간은 변압기와 전주 등의 이설작업이 늦어지면서 개통 시기를 10월말로 연기했습니다. 법원사거리~아라초도 9월에야 완공될 것으로 보입니다. 

공항로와 무수천~국립제주박물관까지의 버스우선차로제는 예정대로 대중교통 개편시점인 26일에 맞춰 시행합니다. 무수천과 국립제주박물관 구간은 가로변차로제로 3차선에 버스우선차로가 실시됩니다. ‘광양사거리~아라초’ 구간은 공사가 완공되면 24시간 버스우선차로제가 실시됩니다. ‘무수천~국립제주박물관’은 출퇴근 시간대(오전 7~9시, 오후 4시30분~7시30분)만 운영됩니다.

버스우선차로제가 각 구간 별로 다른 시기에 적용되기 때문에 해당 내용에 대해 다방면으로 공지하고 전달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제주 #제주도 #버스우선차로제 #대중교통 #제주버스 #제주버스요금 #제주대중교통여행 #제주공항 #제주도여행 #제주맛집 #아로정보기술 #ODsay


쉼표가 있는 대중교통


Posted by 908ㄽ8-0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지리산 구례 수락폭포- 대중교통으로 떠나는 여름 休

지리산 줄기가 이어진 구례 산동면에는 구례 10경에 드는 수락폭포가 있습니다. 깊은 산속에서 굽이굽이 흘러온 물줄기가 높이 15m 절벽 아래로 떨어져, 소리만 들어도 더위가 싹 가신다고 하네요.

수락폭포는 ‘물맞이 폭포’로 유명한데 예부터 인근 주민이 논일이나 밭일을 마치고 이곳을 즐겨 찾았습니다. 신경통과 근육통, 산후통 등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폭포수가 떨어지는 곳에 넒은 암반이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편하게 물맞이를 즐길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젹입니다. 어른 예닐곱 명이 한꺼번에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자리가 넉넉하죠. 또 2013년 전라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곳에서 산소 음이온이 월등히 많이 발생한다고 하니 더위를 쫓고 건강도 지키는 일석이조 피서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중교통으로도 갈 수 있는,
무더운 여름 지리산 구례 수락폭포로 떠나보는건 어떨까요? 😀

지리산을 제대로 즐기는 팁 !

지리산 休제작소

여행자들의 위한 쉼터인 지리산 休제작소는 남원시 인월에 위치하고 있으며 여행, 숙박, 특산물 구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tel: 063-930-0055

#지리산구례 #수락폭포 #전라도여행 #전라도맛집 #지리산여행 #대중교통 #대중교통길찾기 #여름휴가 #대중교통요금 #주말여행 #아로정보기술 #휴제작소


더 많은 정보 보기


쉼표가 있는 대중교통


Posted by 908ㄽ8-0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경기도민 통근수단 도내는 승용차, 서울은 대중교통

통근시간 승용차 도내 43.4분, 서울 66.2분
통근시간 버스 도내 47.4분, 서울 63.8분
통근시간 지하철 도내 44.7분, 서울 60.9분

경기도민이 통근할 때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도내의 경우 승용차, 서울은 대중교통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일 경기연구원이 낸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Ⅵ : 교통'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7월1일~8월5일 도내 2만가구의 19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거주지 외 도내 다른 시군으로 통근하는 응답자의 63.9%가 승용차를 이용했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는 응답자는 28.1%(버스 22.8%, 지하철 5.3%)로, 승용차 이용자의 절반에도 못 미쳤습니다.

반면 서울로 통근하는 응답자는 34.9%만 승용차를 이용했고, 62.1%(버스 47.6%, 지하철 14.5%)는 대중교통을 이용한다고 밝혔습니다. 

거주 시군 내 통근 시 교통수단은 승용차 25.3%, 대중교통 59.2%(버스 28.3%, 지하철 30.9%)였고, 평균 통근시간은 승용차 25.3분, 버스 28.3분, 지하철 30.9분이었습니다. 

통근지역은 거주 시군 내가 57.1%, 도내 다른 시군이 12.1%, 서울이 25.8%였습니다.

도내 통근은 대중교통이 승용차보다 오래 걸리고 서울 통근은 그 반대로 나타남에 따라 도내 대중교통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해보입니다. 

#경기도 #경기도출퇴근 #통근시간 #출근시간 #퇴근시간 #대중교통이용 #대중교통요금 #지하철 #버스 #광역버스 #아로정보기술 #ODsay


쉼표가 있는 대중교통


Posted by 908ㄽ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