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대중교통 개선 아이디어 공모 - 수도권교통본부, 7월 31일까지 홈페이지 접수

수도권교통본부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더 효율적인 교통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2017년 수도권 교통정책 제안공모’를 실시한다고 합니다.

이번 공모는 수도권 시민들로부터 현장에서 느낀 교통 체계의 보완점과 더 효과적인 교통발전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했다고 합니다. 

공모주제는 수도권 교통정책과 관련한 임의주제를 선정하여 제출하면 됩니다. 

수도권교통본부 홈페이지(www.mta.go.kr) 제안공모 접수란을 통해 제출하면 됩니다. 

시민들의 현장 목소리가 시민들을 위한 교통정책으로 이어지길 기대합니다. ^^*

#대중교통 #수도권대중교통 #2017수도권교통정책제안공모 #수도권근교여행 #대중교통길찾기 #광역버스 #광역환승센터 #간선급행버스 #수도권교통본부 #대중교통여행지 #아로정보기술 #ODsay


쉼표가 있는 대중교통


Posted by 908ㄽ8-0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출퇴근 맞춤버스, 다람쥐버스 ! - 서울시 6월 26일부터 시범운행

매일 아침 출근길 승객이 몰리는 혼잡구간에 새로운 출퇴근맞춤버스 일명 ‘다람쥐버스’가 26일부터 도입됩니다. 이 버스는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짧은 구간을 자주 운행해 승객 편의와 버스 운영효율 모두 잡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수요대응형 버스 서비스로 자리 매김 할 전망인 다람쥐버스는 우선 여의도, 신촌 등 도입이 시급한 4개 구간을 선정해 평일 오전 7시부터 9시 사이에 운행될 예정입니다.
8761번(광흥창역~국회의사당), 8771번(구산중~녹번역), 8551번(봉천역~노량진역), 8331번(마천사거리~잠실역) 등 4개 구간이 시범 운행 구간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다람쥐버스가 투입되면 혼잡 노선의 사이사이에 버스가 운행되어 혼잡구간의 배차간격은 평균 3~4분 단축되는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예상되며 1~2개월 시범운행 후 확대시행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
앞으로도 더 좋은 수요대응형 대중교통 정책이 실행되어 편안한 대중교통 이용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다람쥐버스 #대중교통 #서울시대중교통 #서울대중교통 #서울버스 #출퇴근 #지옥철 #여의도 #신촌 #대중교통여행지

더 많은 정보 보기

쉼표가 있는 대중교통


Posted by 908ㄽ8-0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북한의 대중교통 알아보기 #3 - 무궤도전차, 써비차 편 -


북한 방송에서 평양 영상에 등장하는 무궤도전차는 버스 지붕 위 전기선을 따라 운행됩니다. 

전기가 부족해서 중간에 멈추기도 하며 언덕에서는 사람들이 뒤에서 밀기도 한답니다. 무궤도전차 역시 택시와 마찬가지로 큰 도시의 상징이며 과거 레일이 있는 궤도전차도 존재했다고 합니다.

써비차는 화물차 또는 컨테이너차로 버스보다 싼 운임으로 짐을 싣는 공간인 적재함에 사람들이 승차합니다. 저렴하나 지붕이 없고 비포장도로를 달리는 경우가 많아 매우 위험합니다.

우리나라와 비슷하면서도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교통수단이 존재하는 북한의 대중교통 알아보기 시리즈를 끝마칩니다. :D


#북한 #지하철 #버스 #대중교통 #평양지하철 #사드 #북핵문제 #북한대중교통 #김정은 #북한현실 #무궤도전차 #써비차



쉼표가 있는 대중교통

https://www.facebook.com/arointechodsay/


더 많은 정보 보기

https://www.facebook.com/arointechodsay/photos/pcb.852565158215244/852564971548596/?type=3&theater



Posted by 908ㄽ8-0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북한의 대중교통 알아보기 #2 - 택시, 열차 편 -


택시는 북한에서도 택시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택시는 북한의 대도시에서만 볼 수 있어 ‘큰 도시의 상징’, ‘부의 상징’으로 통한다고 하네요. 2014년 기준 1km 당 이용가격이 북한 돈으로 1만 6천원이라고 합니다. 북한 주민 한 달 월급이 3천원 정도라고 하니 엄청나게 비싼 편이죠.

열차는 북한말로 렬차 또는 기차라고 부릅니다. 

전기부족으로 인한 정전, 단선으로만 운영되는 철길, 전압이 떨어지는 현상이 잦아 심한 경우 버스로 3시간 걸리는 거리를 10일이 걸리기도 합니다. 따라서 열차에서 먹고 자는 생활은 당연한(?) 일이며 식량, 취사도구까지 챙겨 승차한다고 합니다. 단, 일반인과 간부가 철저히 나뉘어 일등석은 침대칸으로 구비되어 있고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3편에서는 무궤도전차와 써비차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북한 #지하철 #버스 #대중교통 #평양지하철 #사드 #북핵문제 #북한대중교통 #김정은 #북한현실


쉼표가 있는 대중교통

https://www.facebook.com/arointechodsay/


더 많은 정보 보기

https://www.facebook.com/arointechodsay/photos/pcb.850246025113824/850243468447413/?type=3&theater



Posted by 908ㄽ8-0 :